알아두면 쓸모있을지도 모를 걸프지역 가이드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TMI 가득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MENA/팔레스타인/이스라엘

[국제] 가자지구 사태로 여실히 드러난 슈퍼맨이 되고 싶은 홈랜더, 미국의 민낯

둘라 2023. 10. 20. 20:45
728x90
반응형

 

자신이 직접 보기는커녕, 미 국무부의 그 누구도 사실 여부를 검증하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주장만 곧이곧대로 믿고 "하마스의 유아 참수 사진"을 봤다며 전 세계를 상대로 구라를 치면서까지 악어의 눈물을 흘렸다던 바이든 미대통령은 이스라엘이 병원을 폭격해 수백 명을 학살하는 동안 만나기로 했던 요르단과 이집트가 그와의 회담을 거부하면서 네타냐후 밖에 만날 사람도 없음에도 굳이 이스라엘만 살짝 찍고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돌아오자마자 집무실에서 하마스와 러시아의 승리를 막기 위해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비장한 각오를 밝힌 대국민 TV연설은 정의로운 척 행세해 온 미국이 내세우는 이상적인 가치관 속에 숨겨진 위선과 야만적인 민낯을 여실히 드러내는 오만방자함과 역겨움 그 자체였습니다. 이 세상에 있지도 않은 사진을 보고 눈물을 흘렸다면서도 정작 그 10배가 넘는 민간인들이 사망한 사진과 동영상이 넘쳐나는 폭격 참사에는 애써 (이스라엘의 주장대로) 폭발이라며 이스라엘의 책임전가에 동참하며 숨기기에 급급했던 바이든.

 

이스라엘군의 폭격으로 사망한 시신에 둘러쌓인 채 기자회견 중인 알아흘리 아랍 병원 관계자

 

백악관 담당자가 못 봤다는 사실을 몇 시간 뒤에 기자들에게 밝혔을 뿐, 자신의 실수에는 정작 사과조차하지 않은 바이든의 구라는 있지도 않는 대량무기를 제조하고 있다며 전 세계를 상대로 사기 친 후 사담 후세인 정권을 궤멸시켰던 아들 부시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기에 충분했습니다. 정작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이스라엘에 대해서는 찍소리도 못하면서 말이죠. 아들 부시의 그 자랑스러운 승리의 결과물이 바로 전세계를 경악케 만들었던 ISIS의 태동으로 이어졌죠?

 

폭격 후 다섯시간 동안 조작된 증거를 만드느라 잠잠하다가 끝내 내놓은 하마스의 오폭으로 인한 폭발이었다는 이스라엘군의 주장은 알자지라팀의 다양한 영상 분석을 통해 사실은... 이스라엘이 주장하는 하마스가 가자지구에서 발사한 네 발의 미사일은 모두 아이언돔에 의해 상공에서 완전히 격추된 반면, 그 격추된 모습이 확인된 몇 초 뒤에 병원에서 폭발이 발생했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이스라엘군의 주장은 하마스의 유아 참수설처럼 거짓말로 판명되었고, 

 

성공회 호삼 나오움 대주교는 예루살렘에서 열렸던 기자회견을 통해 이스라엘군이 알아흘리 알아라비 침례병원에 토요일, 일요일, 월요일 3일 동안 철수하라는 경고를 전화로 수차례 보낸 후 화요일에 폭격했다고 밝혀 하마스의 오폭보다는 이스라엘군의 폭격설에 힘을 실었습니다.

 

대응책을 논의할 상대도 없는 굳이 이스라엘까지 가서 네타냐후만 만나고 바로 돌아온 바이든이 의기양양하게 기자회견을 펼치는 동안 이스라엘군은 바이든의 아낌없는 지원 발표에 화답이라도 하듯 자신들이 폭격한 알아흘리 아랍 병원 근처에 있는 425년 건립된 가자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자 피난민 385명을 수용 중이었던 성 포르피리오스 교회를 폭격해 버리면서 병원 폭격이 이스라엘군의 의도적인 공격이었음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죠.

교최 위쪽 메디컬 센터로 표기된 곳이 바로 며칠전 폭격을 받은 알아흘리 아랍 병원

 

이스라엘군은 북부 지역에 있는 가자지구 주민들에게 남부 지역으로 피난가라고 경고하지만, 정작 자신들의 경고가 무색하게 남부지역은 물론 하마스와 상관없는 서안지구까지 인종청소를 위한 학살극과 영토 강탈을 노골적으로 벌이면서 하마스와 상관없는 팔레스타인 민간인 희생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스라엘군의 폭격을 받고 있는 서안지구

 

자신들에게 아라파트헤이트의 비극을 안겨주었던 히틀러보다 수천배 더 악랄하게 악행을 저지르고 있는 이스라엘에 대해 바이든이 아낌없는 지원을 약속한 것 자체는 그리 놀랄 일은 아닙니다.

 

유대인 자본의 영향에 지배되고 있는 미국은 민주당 정권이든, 공화당 정권이든 상관없이 이스라엘에 대해서 만큼은 건국 당시부터 아낌없이 퍼주면서도 통제조차 할 줄 모르는 호구 중의 호구니까요.  

 

이번 사태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된 쪼그라들고 있는 팔레스타인 영토 변천사.

이스라엘 건국 이후 팔레스타인 영토 변천사
이스라엘이 만든 열린 감옥 가자지구 이스라엘 정착민에게 약탈당하고 있는 서안지구

 

1967년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쪼그라들어가고 있는 팔레스타인의 영토는 이스라엘 뿐만 아니라, 미국의 무조건적이고 적극적인 지원 하에 가능했던 일입니다. 쿠웨이트를 침공했던 이라크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던 러시아를 대하는 모습과는 전혀 상반된 미국의 위선을 보여주는 상징이죠. 특히 이라크를 그렇게 만들었던 것이 베트남전에서 개망신을 당한후 신전국가가 된 이란과 대신 싸워줄 장기말이 필요했던 미국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더더욱 말이죠.

 

미국은 이스라엘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아낌없는 군사적, 경제적 지원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의 거침없는 전쟁범죄급 영토 확장에 대해 UN 안보리 결의안을 통해 형식적으로나마 경각심을 일깨워주려는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맞서 왔습니다. 미국은 이스라엘의 "자위권"을 앞세워 자신이 가진 "안보리 상임이사국 거부권 행사"를 적절히 활용해 잇달아 부결시키면서 무력화시켜 왔죠.

 

  • UN이 창설된 1945년 이후 이번 주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부결된 "가자지구 휴전안"까지 78년 동안 UN에 상정되었다가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행사로 부결된 결의안은 총 217건.
  • 부결된 217건의 결의안 중 이스라엘과 관련된 이슈로 부결된 결의안은 전체의 21%를 차지하는 총 45건.
  • 부결된 45건의 결의안 중 미국이 거부건을 행사한 결의안은 45건 전부이며, 이 중 다른 나라가 미국과 함께 거부권을 행사한 결의안은 0건. (구체적인 결의안 내역은 본문 하단에 소개)

 

미국이 UN에서 처음 영국과 함께 거부권을 행사하기 시작한 1970년 9월 10일 이후 거부권을 행사한 총 83건의 결의안 중 영국이나 프랑스가 함께 참여하지 않고 미국만 단독 거부권을 행사해 부결된 결의안이 61건인데, 이 중 무려 74%에 해당하는 45건이 이스라엘에 관련된 결의안이라는 점만 봐도 미국이 어떤 방식으로 UN 안보리 결의안 거부권을 행사해 왔는지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이스라엘에 의한, 이스라엘을 위한 거부권 행사

 

그리고, 미국이 3년 만에 또다시 UN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어김없이 사용해 오는 마법의 단어 "이스라엘의 자위권"

물론... 인디언 원주민을 약탈해서 그 피 위에 나라를 세운 이민자들의 후손답게 이스라엘에 동질감을 느껴서 지원할 수는 있겠지만, 이 압도적으로 차이가 나는 사상자 수를 보고도 과연 적절한 자위권 행사라고 볼 수 있을까요? 정당방위를 넘어 과잉방어, 아니 인종학살 수준의 사상자를 발생시키는 무기와 자금까지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말이죠.

 

단적으로 미국이 인종학살극을 벌이고 있는 이스라엘의 만행을 이스라엘의 자위권으로 인정해 준다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나 쿠웨이트를 침공했던 이라크 역시 옛 영토 수복을 위한 자위권 발동이라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들이 상대 국가에 대해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인종학살극을 벌이는 것도 아니지만요.

 

그렇기에 미국은 팔레스타인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이스라엘과 일심동체이자 공동정범이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아낌없이 퍼주고도 이스라엘의 "인간 악마"급 만행을 통제할 능력조차 없는 호구 중의 호구니까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푸틴도,

미국과 갈등 중인 중국의 시진핑도,

카쇼끄지 살해 사건으로 욕 뒤지게 먹은 사우디의 빈 살만도,

내로남불 그 자체인 바이든의 말이 우습게만 들릴 겁니다.

 

이와 관련해 이틀 전 영국 언론인 피어스 모건의 티비쇼 Piers Morgan Uncensored에 출연한 이집트 코미디언 바삼 유스프는 코미디언 답게 블랙 유머를 담뿍 담아 피어스 모건을 꼼짝 못 하게 만들 정도로 이번 사태를 신랄하게 풍자해 그 채널에 업로드 된 동영상 중 최고 조회수를 달성하며 이스라엘의 만행에 반대하는 전세계 많은 이들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에 대한 피어스 모건과 바삼 유스프의 인터뷰 풀영상

 

그는 미국 만화 속 캐릭터를 통해 이스라엘을 슈퍼맨이 아닌 홈랜더에 비유했죠. 슈퍼맨을 모티브로 삼았다는 슈퍼 히어로지만, 정작 슈퍼맨이 가진 윤리의식이나 도덕감 따위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슈퍼 히어로의 탈을 쓴 슈퍼 빌런. 이는 이스라엘과 일심동체인 미국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비유가 아닐까 싶네요. 

 

속칭 레거시 언론들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던 예전이라면 하마스와 팔레스타인을 잔인한 테러리스트로 악마화하고 이스라엘을 피해자로 그려내는 미국 언론 주도의 프레이밍이 확실하게  먹혀들었겠지만... 미국의 레거시 언론들이 애써 감춰왔던 피해자 이스라엘의 악행과 그로 인한 참상이 1996년 11월 1일 개국한 알자지라와 함께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지금은 이들의 만행을 SNS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공유되고 있는 세상으로 바뀌었는데도 말이죠.

 

과거와 달리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보다 자신들이 늘상 주장해오던 언론과 표현의 자유는 개나 줘버렸는지 불법 시위로 간주해 체포하겠다는 정부와 팔레스타인 지지에 동참한 대학생들의 신원을 확인해 취직에 불이익을 줘야 한다고 자랑스럽게 얘기하는 재계의 협박으로 인한 생계와 신변의 위협을 느끼면서도 이스라엘과 미국에 의해 학살당하고 있는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전세계적으로 더 높아지고 있는 점은 이런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봅니다.

 

 

- 미국만 거부권을 행사해 부결된 이스라엘 관련 UN 안보리 결의안의 기록 -

  일자 초안 회의록 주요 안건 거부권 행사
상임 이사국
1 2023/10/18 S/2023/773 S/PV.9442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2023 Israel–Hamas war)  United States
2 2020/8/31 S/2020/852 S/2020/870
S/2020/865
Threats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caused by terrorist attacks  United States
3 2018/6/1 S/2018/516 S/PV.8274 Middle East situation,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2018 Gaza border protests)  United States
4 2017/12/18 S/2017/1060 S/PV.8139 Middle East situation,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United States recognition of Jerusalem as Israeli capital)  United States
5 2011/2/18 S/2011/24 S/PV.6484 Middle East situation,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Israeli settlements)  United States
6 2006/11/11 S/2006/878 S/PV.5565 Middle East situation,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2006 shelling of Beit Hanoun and Palestinian rocket attacks on Israel)  United States
7 2006/7/13 S/2006/508 S/PV.5418 Middle East situation,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2006 Hezbollah cross-border raid and the start of the 2006 Lebanon War)  United States
8 2004/10/5 S/2004/783 S/PV.5051 Middle East situation,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Second Intifada)  United States
9 2004/3/25 S/2004/240 S/PV.4934 Middle East situation,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Second Intifada)  United States
10 2003/10/14 S/2003/980 S/PV.4842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Second Intifada)  United States
11 2003/9/16 S/2003/891 S/PV.4828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Second Intifada)  United States
12 2002/12/20 S/2002/1385 S/PV.4681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Second Intifada)  United States
13 2001/12/14~15 S/2001/1199 S/PV.4438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Second Intifada)  United States
14 2001/3/27~28 S/2001/270 S/PV.4305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Second Intifada)  United States
15 1997/3/21 S/1997/241 S/PV.3756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Israeli settlements, specifically Har Homa)  United States
16 1997/3/7 S/1997/199 S/PV.3747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Israeli settlements, specifically Har Homa)  United States
17 1995/5/17 S/1995/394 S/PV.3538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Israeli settlements)  United States
18 1990/5/31 S/21326 S/PV.2926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First Intifada)  United States
19 1989/11/7 S/20945/Rev.1 S/PV.2889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First Intifada)  United States
20 1989/6/9 S/20677 S/PV.2867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First Intifada)  United States
21 1989/2/17 S/20463 S/PV.2850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First Intifada)  United States
22 1988/12/14 S/20322 S/PV.2832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sraeli–Lebanese conflict)  United States
23 1988/5/10 S/19868 S/PV.2814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sraeli–Lebanese conflict)  United States
24 1988/4/15 S/19780 S/PV.2806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First Intifada)  United States
25 1988/2/1 S/19466 S/PV.2790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First Intifada)  United States
26 1988/1/18 S/19434 S/PV.2784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sraeli–Lebanese conflict)  United States
27 1986/1/30 S/17769/Rev.1 S/PV.2650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Positions on Jerusalem)  United States
28 1986/1/17 S/17730/Rev.2 S/PV.2642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sraeli–Lebanese conflict)  United States
29 1985/9/13 S/17459 S/PV.2605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United States
30 1985/3/12 S/17000 S/PV.2573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1982 Lebanon War)  United States
31 1984/9/6 S/16732 S/PV.2556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1982 Lebanon War)  United States
32 1983/8/2 S/15895 S/PV.2461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United States
33 1982/8/6 S/15347/Rev.1 S/PV.2391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1982 Lebanon War)  United States
34 1982/6/26 S/15255/Rev.2 S/PV.2381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1982 Lebanon War)  United States
35 1982/6/8 S/15185 S/PV.2377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1982 Lebanon War)  United States
36 1982/4/20 S/14985 S/PV.2357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status of Jerusalem)  United States
37 1982/4/2 S/14943 S/PV.2348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United States
38 1982/1/20 S/14832/Rev.1 S/PV.2329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Israeli occupation of the Golan Heights)  United States
39 1980/4/30 S/13911 S/PV.2220 The question of the exercise by the Palestinian people of its inalienable rights (Israeli–Palestinian conflict)  United States
40 1976/6/29 S/12119 S/PV.1938 The question of the exercise by the Palestinian people of its inalienable rights (Israeli–Palestinian conflict and Arab–Israeli conflict)  United States
41 1976/3/25 S/12022 S/PV.1899 Request by Libya and Pakistan for consideration of the serious situation arising from recent developments in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Israeli–Palestinian conflict, the status of Jerusalem, and Israeli-occupied territories after the Six-Day War)  United States
42 1976/1/26 S/11940 S/PV.1879 The Middle East problem including the Palestinian question (concerning the Palestinian right of return and Israeli-occupied territories after the Six-Day War)  United States
43 1975/12/8 S/11898 S/PV.1862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sraeli–Lebanese conflict)  United States
44 1973/7/26 S/10974 S/PV.1735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sraeli–Palestinian conflict and Israeli-occupied territories after the Six-Day War)  United States
45 1972/9/10 S/10784 S/PV.1662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1972 Israeli air raid in Syria and Lebanon)  United State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