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ACL 3R] 극적인 대역전승으로 첫 승을 거둔 알와흐다, 역시 첫 승을 신고한 알사드, 3연승을 달린 페르세폴리스!
0. 리뷰
B-1) 아챔에서 처음으로 맞붙은 알꾸와 알자위야와 트락토르 사지는 득점없이 승점 1점씩을 나눠가졌습니다.
B-2) 역시 아챔에서 처음으로 맞붙은 샤르자와 파크타코르의 경기에서는 샤르자가 대승을 거두고 무패행진을 이어갔습니다.
D-1) 남태희 선발 89분 출전. 무패 우승을 이뤘던 리그에서와 달리 조별예선에선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알사드는 처음 맞붙는 요르단 알와흐다와의 경기에서 부알렘 쿠키의 결승골로 한 골을 만회하는데 그친 알와흐다에 3대1 승리를 거두고 세 경기만에 첫 승을 신고했습니다. 선발 출전한 남태희는 마지막 교체카드로 교체 아웃되었습니다.
D-2) 알나스르는 풀라드와의 경기에서 자책골로 끌려다니다 페트로스의 만회골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사이좋게 승점 1점씩을 나눠가졌습니다.
E-1) 이명주 풀타임. 아챔에서 6번 맞붙어 5승 1패로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는 알와흐다와 알라이얀의 경기에서는 후반 15분까지 알라이얀이 두 골을 앞서 나가며 경기를 이기는 듯 했지만, 교체 투입된 U-21 선수인 마니으 아이드의 만회골을 신호로 칼릴 이브라힘의 동점골에 이어 경기 종료 직전에 터진 파리스 주므아의 극장골로 3대2의 대역전승을 거두며 세 경기 만에 첫 승을 신고했습니다. 이명주는 풀타임을 소화했습니다.
E-2) 2연승을 달리고 있는 작년 준우승팀 페르세폴리스는 아챔에 첫 진출한 후 두 경기 연속 무승부를 거뒀던 다크호스 고아와의 경기에서 되려 선제골을 허용했지만, 바로 만회한데 이어 사이드 잘랄 호세이니의 결승골로 2대1 승리를 거두고 3연승을 달려 16강 진출의 유리한 고지에 올랐습니다.
1. 경기 결과
- B조 -
알꾸와 알자위야 (이라크) 0:0 트락토르 사지 (이란) (4월 20일 19:00/ 샤르자 스타디움)
알꾸와 알자위야 | 트락토르 사지 |
샤르자 (UAE) 4:1 파크타코르 (우즈베키스탄) (4월 20일 22:00/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 파크타코르 |
(전반 10분) 칼리드 바와지르 | |
(전반 21분) 드라간 세란 | |
(전반 26분) 살림 살레 | |
(후반 13분) 카이오 루카스 | |
(후반 17분) 루안 마틴스 |
- D조 -
알사드 (카타르) 3:1 알와흐다 (요르단) (4월 20일 21:00/ 킹 파흐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알사드 | 알와흐다 |
(전반 2분) 바그다드 부네자 | |
(전반 9분) 부알렘 쿠키 | |
(전반 26분) 핫산 알하이도스 | |
(후반 18분) 아흐마드 사미르 |
풀라드 (이란) 1:1 알나스르 (사우디) (4월 20일 21:00/ 무르술 파크)
풀라드 | 알나스르 |
(후반 7분) 압둘라 알아므리 (자책골) | |
(후반 24분) 페트로스 |
- E조 -
알와흐다 (UAE) 3:2 알라이얀 (카타르) (4월 20일 20:00/ 파토르다 스타디움)
알와흐다 | 알라이얀 |
(전반 13분) 쇼자 칼리자데 | |
(후반 9분) 압둘아지즈 하팀 | |
(후반 21분) 마니으 아이드 | |
(후반 40분) 칼릴 이브라힘 | |
(후반 50분) 파리스 주므아 |
페르세폴리스 (이란) 2:1 고아 (인도) (4월 20일 22:30/ 파토르다 스타디움)
페르세폴리스 | 고아 |
(전반 14분) 에두 베디아 | |
(전반 18분) 마흐디 토라비 | |
(전반 2분) 사이드 잘랄 호세이니 |
2. 조별 순위